60초의 승부수 - 일상에 녹아든 숏폼 콘텐츠에도 특별한 생존 전략이 필요하다.
2022. 10. 18. 01:02ㆍ문화
728x90
반응형
728x170
릴스나 유튜브 쇼츠 콘텐츠를 많이 접하긴 했지만 내가 만들 만한 건 아니라고 생각하며 ‘디지털 아싸’를 자처했다. 그런데 얼마 전 친구들과 떠난 여행에서 첫 릴스 영상을 찍어본 뒤 생각이 완전히 달라졌다. 직접 해보니 요즘 MZ세대 사이에 숏폼 콘텐츠가 왜 그렇게 난리인지 조금은 알 것 같았다. 일단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촬영부터 편집까지 모두 거뜬하다. 카메라나 삼각대, 조명 같은 장비는 없어도 되고, 랩톱을 펼쳐 자막을 넣거나 새로 편집할 필요도 없다. 릴스에서 제공하는 효과를 적절히 쓰면 아무렇게나 찍어도 그럴듯한 영상이 완성된다. 또 무엇보다 재미있다. 모이면 둘러앉아 술을 마시거나 카드 게임만 했던 극강의 내향인 친구들의 엉덩이마저 움직이게 했다는 건 분명 재미를 보장한다는 증거다. 숏폼 콘텐츠는 젠지(Gen Z)에겐 너무 익숙한 콘텐츠 생태계일 테고, 밀레니얼 세대에게도 또 하나의 새로운 놀이 콘텐츠가 되고 있는 것이다. 쉽게 접하고, 만들 수 있으니 모든 시청자는 동시에 잠재적인 창작자다. 지속적인 콘텐츠 생산이 플랫폼 생존의 필수 조건이라면, 이보다 좋은 선순환 구조가 또 있을까?
마케팅, 광고의 영역에서도 숏폼 콘텐츠는 거부할 수 없는 존재다. MZ세대 사이에서 좀 ‘튀고 싶다’는 브랜드는 너도나도 본격적인 숏폼 콘텐츠 제작에 나섰다. 그 전략도 다양하다. K-팝 아티스트들은 숏폼 콘텐츠의 확장성에 주목한다. 댄스 챌린지가 여기 해당된다. 댄스 챌린지는 2020년 지코의 ‘아무노래 챌린지’로 불이 붙었다. 아무노래 챌린지는 지코와 동료 연예인들을 중심으로 시작됐다가 인플루언서 그리고 일반인에게까지 신드롬처럼 번졌다. 완성된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신곡과 안무를 하나의 밈처럼 소비하도록 판을 깔아준 것인데, 이는 더 많은 사람에게 노래를 들려줘야만 하는 아티스트에게 최적의 마케팅 방법이다. 아무노래 챌린지 이후 K-팝 아티스트의 컴백에 댄스 챌린지는 필수 코스가 됐다. 사용자 록인(Lock-in)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도 있다.
티빙은 오리지널 드라마, 영화의 한 장면을 재편집해 숏폼으로 공개한다. 하이라이트 영상으로 호기심을 유발하고, 원본 영상 시청까지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다. 숏폼으로 공개하는 영상은 짧을 뿐 아니라 유행어나 밈을 더해 재미있게 편집한다. <유미의 세포들>에서 유미와 구웅의 대화에 MBTI 유형 분석을 곁들여 재해석하는 식이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크리에이터도 메인 콘텐츠를 편집한 클립 영상을 일종의 미끼 상품처럼 사용하며 구독자를 늘린다. 그런가 하면 브랜드나 기업에서는 숏폼 콘텐츠로 새로운 마케팅 생태계를 구축한다. 브랜드 콘텐츠라고 생각되지 않을 만큼 탄탄한 세계관과 스토리텔링을 갖춘 콘텐츠가 인기다. CU의 ‘CU튜브’가 대표적. ‘편의점 고인물’이라는 제목으로 편의점 아르바이트생들이 겪는 온갖 에피소드를 담는다. 누구나 공감할 만한 ‘하이퍼 리얼리즘’ 스토리를 보여주기도 하거니와 편의점 브랜드의 콘텐츠임을 잊을 만큼 재미있어서 몰입도가 높다. 대중들도 이런 시도를 마케팅 수단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콘텐츠로 인식하고 자연스레 시청한다.
이런 흥행에 발맞춰 콘텐츠 플랫폼이나 포털에서는 숏폼에 집중한 서비스를 계속해서 선보인다. 모바일 OTT 플랫폼 바바요는 숏폼 콘텐츠를 메인으로 틈새시장 공략에 나섰다. 기존의 OTT 서비스 오리지널 콘텐츠보다는 짧고, 릴스나 유튜브 쇼츠, 틱톡의 콘텐츠보다는 정보와 스토리를 더한 드라마나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또 다음 카카오는 지난 8월 모바일 뉴스 페이지를 개편하며 숏폼 콘텐츠 전용 공간을 마련했다.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들이 제작한 숏폼 콘텐츠를 아카이빙해볼 수 있다. 이제 숏폼 콘텐츠는 SNS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피하려야 피할 수 없는 파도다. 가까운 미래 콘텐츠 시장의 성공 여부는 지금의 숏폼 웨이브에 얼마나 잘 올라타느냐로 판가름 나지 않을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 놓치면 안되지, 10월 전시 (0) | 2022.10.20 |
---|---|
서울 속 독립 서점 4곳 (0) | 2022.10.18 |
서울에서 가장 힙한 축제가 돌아왔다! 2022 이태원 지구촌 축제 정보.zip (0) | 2022.10.17 |
매즈 미켈슨이 한식당 혼밥 주 6회?! K-입맛 인증한 해외 스타 2 (0) | 2022.10.17 |
송중기가 사상 첫 '금토일' 드라마의 주인공!? 판타지 회귀물 '재벌집 막내아들' 내용 (0)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