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22. 21:23ㆍ투자인사이트
[정유] Weekly Outlook: 수급은 여전히 타이트한 상황
Review
지난 주에는 WTI $68.3/bbl(-10.4% WoW), Dubai유 $75.2/bbl(-8.5% WoW)로 평균 유가가 급락하였습니다. 이는 최근 글로벌 석유제품 재고 레벨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시스템 리스크 및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며, 유가가 급락하게 되었습니다.
유럽 지역에서는 재고축적 수요의 감소와 LNG 가격의 안정화로 인해 대체 수요가 줄어들면서 등유와 경유의 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등유는 -6.1%, 경유는 -6.4%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휘발유와 납사의 가격도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휘발유는 -5.0%, 납사는 -9.5%의 가격 하락을 기록하였습니다.
정제마진 부분에서는 Spot 정제마진이 $11.2/bbl로 전주 대비 $0.9 상승하였고, 1M-Lagging 정제마진은 $2.7/bbl로 전주 대비 $9.0 하락하였습니다. 제품 스프레드는 소폭 상승하였지만, 등/경유 마진 급락으로 인한 영향과 최근 유가 급락으로 인한 제품 가격 하락으로 인해 1M-Lagging 정제마진이 급락하면서 정제마진 강세가 지속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 주에는 휘발유 마진이 전주 대비 -$7.9/bbl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는 3월부터 지속되어 온 상승세가 급락한 것입니다. 경유 마진은 -$9.4, 등유 마진은 -$9.1, 납사 마진은 -$10.2로 각각 마진이 축소되었습니다.
Outlook
최근에는 글로벌 석유제품 재고 레벨이 상승하면서 가격 하락이 지속되어왔으나, 이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 부각으로 인해 급락을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글로벌 석유제품 수요는 견조한 상황이라는 판단입니다. 이에 OPEC은 최근 3월 14일 OMR에서 중국의 수요 상향 조정을 발표하였습니다. 중국의 수요는 기존 59만b/d에서 최근 71만b/d로 상향 조정된 것입니다.
지난 2022년 10월에 OPEC+ 감산 조치로 언급됐던 NOPEC 법안이 지난 주에 미국 상원에서 상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사우디 아라비아 에너지 장관은 NOPEC 법안이 자국의 원유에 가격상한제를 적용할 경우 추가 감산 및 수출 제한을 할 수밖에 없다고 언급하였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전쟁으로 인해 원유 공급 리스크가 확대된 상황이기 때문에 실제로 NOPEC 법안이 시행될 가능성은 낮다는 판단입니다.
2023년 2분기에는 러시아산 석유제품 제재 효과가 본격화되어 정유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과 인도의 경우,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이 증가하였지만 아직 석유제품 수입까지는 이어지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에 글로벌 석유제품 공급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중국의 자급률 상승으로 인해 중국의 순수출량 증가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가 여전히 유효합니다. 특히, 원유 수요의 과반을 차지하는 중국의 리오 프닝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타이트한 수급 상황이 지속되면서 유가 및 석유제품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화학] Weekly Outlook: 수요약세 지속과 유가 급락에 따른 시황 악화
Review
최근에는 글로벌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유가가 급락하였고, 이에 따라 석유제품 가격도 약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NCC 가동률이 상향 조정되어 공급량이 확대되고 있지만, 연초 중국 리오프닝 전망에 따른 선제적인 재고축적으로 인해 최근에는 물량이 축소되어 가격 약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BD는 4.7% 하락, BTX는 1.5% 하락 등의 기록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합성섬유 체인에서는 MEG가 2.8%, BDO가 4.6%, Caprolactam이 0.6% 하락하는 등의 기록을 보이고 있으며, AN, PET 등은 보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내 합성섬유 원료의 자급률이 증가하면서 합성섬유 원료의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폴리머 전반적으로는 PE가 0.9%, PP가 1.9%, PVC가 2.2% 등 약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ABS는 보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재고축적 수요 감소와 더불어 유가 급락으로 인한 가격 하락이 원인입니다.
가성소다는 전주 대비로 3.9% 하락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월 대비로 보면 27.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유럽 지역의 전력가격이 안정화된 영향으로 Plant의 가동률이 연초 대비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높은 재고 수준이 지속되면서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Outlook
중국 양회는 GDP 성장률 목표를 5%로 제시하고 지방채 발행한도를 3.8조 위안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그러나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화학제품 수요의 증가세가 둔화될 것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향후 23년까지 대규모 증설이 계획되어 있는 상황에서 중국 내 플랜트 가동률도 성장률 목표치에 맞춰 상향 조정되고 있어 역내 자급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도 불구하고 화학제품의 단기적인 마진압박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중국, 유럽의 자동차 판매가 약세를 보이며 글로벌 내구재 수요 역시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 화학 업황의 단기적인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중국의 2월 소매판매 및 산업 생산이 전년 대비 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수요 증가 전망은 여전히 유효하며, 2H23부터 중국 리오프닝 및 글로벌 수요 증가에 따라 23년 화학 업황은 완만한 회복 전망됩니다.
올해 BR과 SBR의 증설은 제한적이지만, 기존에 낮았던 가동률이 회복되어 공급량을 확대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중국 등에서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하는 신호도 보고되고 있어 수요 감소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에 반면, 업스트림의 BD 가격은 NCC 가동률 상승으로 인해 다운스트림에 비해 큰 가격 하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스프레드 확대가 예상됩니다. 금호석유는 이러한 상황에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의 수요증가에 따라 합성섬유 체인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나, 글로벌 의류 도매 재고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단기적인 재고조정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2H23 이후 점진적인 회복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투자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세아이테' 투자포인트 정리, AI 빅데이터 강자에 메타사업까지 진출 성공 (0) | 2023.03.22 |
---|---|
중국 외자판호 발급 재개, 데브시스터즈가 최대 수혜 기업인 이유 (1) | 2023.03.22 |
대웅제약 : 보톡스 소송 이후 과도한 하락 / 목표가 170,000 | 투자의견 Buy (0) | 2023.02.19 |
고환율 시대에 살아남기 - 연일 무서운 기세로 고공 행진 중인 환율, 과연 우리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0) | 2022.10.25 |
안전 자산 금값도 인플레에 하락세 (0) | 202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