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28. 21:04ㆍ투자인사이트
체크포인트
■ KEC는 오랜 업력을 가진 전력반도체 전문 제조기업. 1969년 ‘한국전자홀딩스’(당시 ‘한국도시바주식회사’ 사명)로 설립. 매출 비중은 SSTR(Small Signal Transistor, 소신호 트렌지스터) 50%, IC(Intergrated Curcuit, 집적회로) 26%, 상품 등 기타 24%
■ 글로벌 전력반도체 시장은 2021년 9.8억달러에서 2025년 47.1억달러로 성장할 전망(연평균 성장률 +48%). 글로벌 전력반도체 기업들은 Si(실리콘), SiC(실리콘카바이드) 소재 전력반도체 산업의 고성장성을 고려하여 원재료/웨이퍼/모듈 등 모든 분야에 적극적인 증설을 진행. 이는 그만큼 전력반도체 산업의 매력도가 높음을 방증. KEC의 경우도 전력반도체 산업의 업황을 고려해 Si, SiC 관련 웨이퍼 증설을 검토 중
■ 2023년 연간 연결기준 매출액, 영업이익은 각각 2,254억원(-12.0% YoY), 113억원(-37.2% YoY)으로 추정. 전년 대비 매출액 및 영업이익 감 소 전망은 1) 가전제품 수요감소, 2) 원재료 가격, 신사업 비용 증가 전망에 기인. 단 상저하고 흐름을 예상
KEC는 비메모리 전력반도체 전문기업
KEC는 전력반도체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1969년에 "한국전자홀딩스"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당시에는 "한국도시바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현재 KEC의 매출 비중은 소신호 트랜지스터(SSTR) 50%, 집적회로(IC) 26%, 그리고 상품 및 기타 24%입니다.
전력반도체는 가전제품, 전기차, 발전소 등에 다양하게 활용
글로벌 전력반도체 시장은 2021년 98억 달러에서 2025년 471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48%입니다. 전력반도체 시장은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과 함께 성장하고 있으며, 전력반도체는 주로 전기차 내 인버터, 차량 콕핏, ADAS 등에 적용됩니다. 글로벌 전력반도체 전문기업들은 Si(실리콘), SiC(실리콘카바이드) 소재 전력반도체 산업의 고성장성을 고려하여 원재료/웨이퍼/모듈 등 모든 분야에 적극적인 증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력반도체 산업의 매력도가 높음을 보여줍니다. KEC도 전력반도체 산업의 업황을 고려하여 Si, SiC 관련 웨이퍼 증설을 검토 중입니다.
2023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감소할 전망. 단 상저하고 흐름 예상
2022년 KEC는 매출액 2,562억원, 영업이익 18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년 대비 각각 -4.2%, -32.1%의 감소율을 보일 것입니다. 또한 2023년 매출액은 2,2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2.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영업이익은 113억원으로 전년 대비 37.2% 감소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감소는 가전제품 수요감소와 원재료 가격, 신사업 비용 증가 등의 요인에 기인합니다.
'투자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솔루션 (009830), 1분기 실적 발표 및 IRA 세제혜택 기대 -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6.7만원 유지 (1) | 2023.03.29 |
---|---|
롯데케미칼 (011170), 2023년 실적 개선 목표주가 상향 전망 (1) | 2023.03.28 |
GST (083450), Scrubber 평균 단가 상승으로 사상 최대 실적 기록하며, 올해도 매출 증가 전망. 밸류에이션 매력적. (0) | 2023.03.27 |
효성티앤씨 (298020), 중국 석탄 생산량 증가와 인도 수요 증가로 기업 수혜 (0) | 2023.03.27 |
JYP Ent. (035900), 트와이스 예상보다 좋은 앨범 판매와 매니지먼트 매출로 목표주가 11% 상향 조정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