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31. 21:11ㆍ투자인사이트
투자의 귀재. 환원도 진심
첫 주주환원정책 발표. 경상배당수입의 30% 이상 및 투자 성과의 일부
23년 주주환원은 SK쉴더스 매각 대금 일부 포함 총 3.1천억원 규모 전망
활발한 투자/회수 및 안정적인 주주환원정책 대비 할인율 74%로 저평가
투자의견 매수(Buy), 목표주가 58,000원 유지
SKT의 목표 주가는 NAV(순자산가치)에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정됩니다. 2021년 11월 29일 신규 상장 이후 형성된 할인율은 57~77% 범위 내에서 평균 72%입니다. SKT는 분할 신규 상장을 통해 상장사 지분가치 13조원(60%), 비상장사 지분가치 8조원(35%), 그리고 순 현금 1.1조원(5%)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의, 비상장사 지분가치와 순현금은 SK쉴더스 지분 일부 매각 가치 및 매각 대금 유입 후 기준입니다. 따라서, SKT의 목표 주가는 분할 신규 상장 직후 형성된 초기 5거래일간의 할인율인 62%를 적용하여 산정되며, 이는 NAV 22조원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기다렸던 첫 주주환원정책. 경상배당수입의 30% 이상 및 투자 성과의 일부
최근에 승인된 첫 재무제표에서 분할 상장 후 이익잉여금이 반영되어 주주환원 정책이 발표되었습니다. 23년부터 25년까지 3년간 주주환원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 중 경상배당수입의 30% 이상과 Harvest 성과의 일부를 활용하여 자사주 매입, 전량 소각 또는 배당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23년 주주환원 규모는 약 3.1천억원으로, 시총의 약 6% 규모입니다. 경상배당수입은 SK하이닉스로부터 연간 최소 1.7천억원 유입될 예정입니다. SK쉴더스 지분 일부 매각을 통해 Harvest 성과의 일부를 주주환원에 활용할 예정이며, 보유 지분 63.1% 중 약 29%를 매각하여 현금 8,646억원 중 4,150억원이 3Q23에 유입될 예정입니다. 23년 주주환원에서 3Q23 중 유입되는 매각대금 중 약 2천억원 가량이 주주환원에 쓰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23년 주주환원은 경상배당수입과 SK쉴더스 매각 대금 중 일부를 활용하여 자사주 취득, 소각 또는 배당 등을 진행할 예정이며, 시총의 약 6% 규모입니다. 24년 최소 주주환원은 하이닉스로부터의 배당 수입 1.7천억원의 30%인 530억원으로 예상됩니다.
활발한 투자/회수 활동 및 안정적인 주주환원정책 대비 할인율 74%로 저평가
SK 스퀘어의 투자 성과
SK스퀘어는 투자 회사로서 빠른 투자와 회수를 통해 Capital Gain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4Q21 출범 이후 투자한 회사는 총 5개이며, 금액은 2,434억원입니다. 그동안 회수한 회사는 총 3개이며, 금액은 9,949억원입니다. SK스퀘어는 인수한 회사 중 디지털 휴먼 제작사인 Onmind와 가상자산 거래소인 Korbit 및 글로벌 게임개발사인 HAEGIN은 SK플래닛의 블록체인 사업과 연계 후, SKT가 21년 하반기부터 추진하고 있는 AI 및 메타버스 사업과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SK스퀘어는 SKT와의 시너지 추구와 함께 빠른 회수를 통해 Capital Gain의 극대화도 추구하고 있습니다. SK스플래닛 자회사인 SK엠앤서비스를 723억원에 매각하여 500억원의 배당금이 SK스퀘어에 유입되었고, 나노엔텍을 580억원에 매각하기로 결정한 것도 이와 같은 전략의 일환입니다. 1Q23에는 SK쉴더스 지분 일부를 스웨덴의 EQT파트너스에 매각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번 딜로 현금 8,646억원이 유입될 예정입니다. 딜 종료 시점에는 현금 4,146억원이 유입되며, 이후 최대 2년 이내에 4,500억원이 유입될 예정입니다. 또한, 4,500억원은 EQT의 SK쉴더스 인수자금으로 대여하여 대여기간 동안 연 7%의 이자가 유입될 예정입니다. 이번 딜로 기업가치는 Equity 기준 인수 당시 1.3조원에서 3.2조원으로 상승하였으며, 순차입금을 포함한 EV는 2.97조원에서 5.2조원으로 약 2배 수준으로 상승하였습니다.
'투자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SCO 홀딩스(005490) 전망, 예상 매출 19.3조원, 중국 철강 시장 회복과 리튬 사업 기대감에 따른 'BUY' 추천 (0) | 2023.04.11 |
---|---|
'SK이노베이션 (096770)' 석유 부문의 수익성 회복에 기대, SK온 수율 개선으로 이익 상승 예상 (0) | 2023.04.09 |
에코프로비엠 (247540), 한국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투자의견 하향 조정 및 2030년 생산 캐파 100만톤 돌파 예상 (0) | 2023.03.30 |
NAVER (035420), 2023년 네이버의 글로벌 C2C 침공 시작! (0) | 2023.03.30 |
카카오뱅크 (313410), 1분기 대출성장률 예상 및 이슈에 대한 전망 분석 (0) | 2023.03.29 |